728x90
반응형
최근 글로벌 증시가 요동치며 VIX 지수가 50.44까지 치솟았습니다. 단 하루 만에 50.93% 급등한 수치로, 시장 참가자들이 얼마나 큰 공포에 휩싸였는지를 보여줍니다. VIX 지수란 무엇인지, 과거 사례에서 어떤 흐름이 있었는지, 그리고 현재 VIX 지수가 의미하는 바와 앞으로의 투자 전략까지 간단히 정리해 보겠습니다.
VIX 지수란?
VIX(Volatility Index)는 흔히 공포지수라고 불리며, 미국 시카고옵션거래소(CBOE)에서 발표합니다.
- S&P500 지수 옵션의 내재 변동성을 바탕으로 계산되어,
- 앞으로 30일간 시장의 불확실성에 대한 기대치를 수치로 나타냅니다.
- 수치가 높을수록 시장은 '불확실성'이 크다고 보고, 투자자들이 위험 회피 심리에 빠져 있다는 뜻입니다.
과거 VIX 급등 사례와 시장 반응
- 2008년 금융위기
- VIX 최고치: 89.53 (2008년 10월 24일)
- S&P500은 이후 2009년 3월에 바닥을 찍고 상승 전환
- VIX 고점과 시장 바닥 간 시차: 약 5개월
- 2020년 코로나19 팬데믹
- VIX 고점: 82.69 (2020년 3월 16일)
- S&P500 바닥: 2020년 3월 23일
- 단 1주일 만에 바닥 확인 후 반등
- 연준의 무제한 양적완화(QE)가 기폭제
- 2011년 유럽 재정위기
- VIX 고점: 48 (2011년 8월)
- S&P500 바닥: 2011년 10월
- 본격 반등 시작: 2012년 1월
→ 공통점:
- VIX가 40을 넘는 순간, 시장은 극심한 공포 상태
- 이후 일정 시차를 두고 저점 매수의 기회가 발생
현재 VIX 지수와 시장 상황 (2025년 4월 기준)
- VIX 지수: 50.44 (2025.04.04 기준)
- 하루 상승률: +50.93%
- 미국 3대 지수 급락
- 다우존스: -5.55%
- 나스닥: -5.82%
- S&P500: -5.97%
투자자는 지금 어떻게 대응해야 할까?
개인적으로는 이번주를 넘어 차주 (4/14)부터는 점진적으로 매수를 하면 좋은 수익률을 거둘 수 있지 않을까 생각 합니다. 대응 전략은 아래와 같이 3가지로 정리할 수 있습니다.
- 바닥을 예측하려 하지 말고, 분할 매수 고려
- '손잡이를 꼭 잡고, 한 계단 한 계단 내려가는 것'
- 즉, 무리한 진입보다는 점진적 진입이 유리
- 단기 반등 노리는 투자자
- VIX 40 이상에서 진입해 짧게 수익을 내는 전략도 가능
- 단, 변동성이 높기 때문에 엄격한 손절 라인 필수
- 장기 투자자라면 채권도 고려
- 미국 10년물 국채가 목표금리 도달 후 매도되며,
- 채권은 안정적 수익과 현금 보유 수단으로 유리
마무리: VIX는 공포의 끝이 아닌 기회의 시작일 수 있다
VIX는 시장이 극도로 불안할 때 높아지며, 이는 곧 반등의 신호가 되기도 합니다. 물론, 정확한 진입 타이밍은 아무도 알 수 없기에 지나친 확신은 금물입니다. 하지만 과거 데이터가 보여주듯, VIX 40 이상은 분할 매수 관점에서 매력적인 구간임은 분명합니다.
불확실한 시기일수록 냉정한 전략이 필요합니다. 공포 속에서 기회를 잡는 당신이 되길 바랍니다.
728x90
반응형
'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투자] 코리아 버크셔해서웨이 메리츠금융지주 투자이야기_#1 (4) | 2025.04.10 |
---|---|
폭락장에서도 살아남은 워런 버핏 투자 전략, 5년 수익률 195% 비결은 (0) | 2025.04.08 |
[2025 증시 폭락] KOSPI 실패 할 수 없는 역사적 저점 구간? 지금은 좋은 투자 기회!! (6) | 2025.04.07 |
미국 ETF 고르는 법: S&P500, 나스닥100, SCHD 중 최고의 선택은? (5) | 2025.04.06 |
휴머노이드 투자, 유비테크가 제2의 BYD가 될까? 테슬라 옵티머스vs 중국 유비테크 글로벌 주도권 경쟁 본격화 (0) | 2025.04.05 |